“샤넬 가격 올리자마자 700만원이던 중고 가방이…” 한숨

현대해상태아보험 가입하기 현대해상태아보험

올해 명품 브랜드 도미노 가격 인상샤넬 올해 첫 인상…작년 11월 이후 약 3개월 만클래식 플랩백 등 인기 모델 가격 올라연초 에르메스·롤렉스 등 가격 올려​ ​프랑스 명품 브랜드 샤넬이 3개월 만에 제품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. 이번 가격 인상으로 대표 모델로 꼽히는 ‘클래식 플랩백’의 라지 사이즈 가격은 1480만원까지 뛰어 1500만원에 육박했다. 이른바 ‘3대 명품’으로 불리는 ‘에루샤’(에르메스·루이비통·샤넬) 중 두 곳이 새해 들어 가격을 올렸다. 각 브랜드들이 지난해 이어간 가격 줄인상 기조를 연초부터 재현하는 모양새다.​​”샤넬백 오늘이 제일 싸다”…3개월 만에 또 올린 샤넬 ​​2일 샤넬은 클래식 플랩백 등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해 공식 홈페이지 가격에 반영했다. 지난해 11월에 이어 약 3개월 만이며 모델별로 최대 6%의 인상을 단행했다.​이번 가격 인상으로 인기 제품 ‘클래식 플랩백’의 스몰 사이즈 제품 가격은 종전 1237만원에서 1311만원으로 6.0% 뛰었다. 같은 모델 미디움은 1316만원에서 1367만원으로 3.9% 올랐다. 라지의 경우 1420만원에서 1480만원으로 4.2% 인상돼 몸값이 1500만원에 육박했다.​’22백’ 가격도 모델별로 3.7~4.3% 인상됐다. 보이 샤넬 플랩 백의 경우 864만원에서 895만원으로 3.6% 올랐다.​샤넬은 이번 가격 인상 배경으로 원재료비 상승을 든 것으로 전해졌다. 업계에선 지난해 4차례 가격을 인상한 샤넬이 올해도 인상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점치고 있다.​​연초 에르메스·롤렉스 바통 이어받아…올해도 ‘高高’할까 ​새해 들어 명품 브랜드의 가격 인상 기조는 이어지고 있다. 샤넬의 가격 인상은 새해가 밝자마자 가격 인상에 나선 ‘명품 중의 명품’ 에르메스의 바통을 이은 것이다.​고가의 주얼리와 시계 브랜드 인상 소식도 줄을 이었다. 새해 첫 달 롤렉스, 쇼파드가 가격을 올렸다. 지난달에는 프랑스 부쉐론이 주요 제품 가격을 7~8% 인상했고, 불가리 역시 인기 제품 가격을 4~7% 올렸다.​에루샤(에르메스·루이비통·샤넬) 중 남은 한 곳인 루이비통과 같은 루이비통모에헤네시(LVMH) 소속인 디올, 펜디 등도 조만간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업계에선 예상한다. 지난해 주요 브랜드가 한 해 3~5회 가격 인상에 나선 만큼 올해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날 것이란 관측이다.​ ​이같은 가격 인상 기조는 가격이 오르는데도 과시욕과 허영심 때문에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‘베블런 효과(Veblen effect)’를 바탕으로 한 꾸준한 수요가 배경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.​글로벌 리서치 기업 유로모니터가 진단한 지난해 한국의 명품시장은 세계 7위 규모다. 전년보다 4.4% 증가한 141억6500만달러(약 18조5986억원)에 달했다.​1인당 명품 소비액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. 미국 투자은행(IB) 모건스탠리가 분석한 지난해 한국의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(약 42만원)로 미국(280달러)과 중국(55달러)을 훌쩍 웃돈다.​가격 인상 속 인기제품의 수요가 여전하다보니 이른바 브랜드의 ‘갑질’이 이어지기도 한다. 일부 인기 제품의 경우 매장에 제품이 없어 구입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전액 미리 내야만 구입 대기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다는 후문이다. 돈을 지불하더라도 물건을 받기 전까지 안심할 수 없다. 지난해 디올은 제품 가격을 전부 지불한 고객에게 인상분을 내지 않으면 주문을 취소하겠다고 안내해 물의를 빚은 바 있다.​​”하루 만에 20만원 올랐다”…중고 가격 다시 오를까 ​실사용자들은 중고 제품 가격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. 전자상거래(e커머스) 등을 통한 리셀(되팔기) 거래가 활성화된데다 샤넬 백은 대표 리셀테크(리셀+재테크·비싸게 되팔아 수익 확보) 아이템으로 꼽히는 만큼 가격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.​럭셔리 전문 카페에서 한 누리꾼은 중고 애플리케이션(앱)에서 한 달 동안 지켜보고 있던 샤넬 백 모델의 가격이 이번 가격 인상과 함께 뛰었다는 경험을 전하기도 했다. 그는 “이런 사태 일어날 줄 알았다면 미리 샀을텐데”라며 아쉬움을 표했다. 또다른 누리꾼은 눈여겨보던 가방이 “700(만원)이던 게 785(만원) 됐다”고 가격 인상 조짐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.​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(코로나19) 팬데믹(세계적 대유행) 이후 ‘보복소비’ 열풍이 불며 중고 가격이 매장가보다 비쌌던 당시와는 분위기가 다소 다르다는 지적도 나온다.​한 누리꾼은 “제품마다 다르겠지만 최근에는 크게 바로 안 오르더라”며 예전과 사뭇 다른 흐름을 전했다. 그는 “전에는 인상되면 바로 반영돼 (가격이 인상된 만큼) 더 붙어서 (중고제품 가격이) 같이 올랐다”고 회상했다.​수요가 예전과 같지 않다는 점은 연초 백화점의 명품 브랜드 매출에서도 나타난다.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발표한 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추이에 따르면 롯데·신세계·현대 등 주요 백화점 3사의 해외유명브랜드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7.2% 감소했다.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2020년 3월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역성장한 것.​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백화점 업태와 관련해 “여행 본격화와 더딘 경기 회복으로 단가가 높은 가전과 명품 매출 중심으로 매출 부진이 이어질 것”이라고 전망했다.​​​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[email protected]​​#서이추환영 #서로이웃환영​